새싹 프론트엔드

[새싹 프론트엔드] 22.11.08

양파너구리 2022. 11. 9. 09:58

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



함수는 여러가지 일을 해야될 떄 하나의 식을 깔끔하게 정리해서

반복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.


 

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전역 함수라고 한다.

parseInt 와 isNaN 은 사용한 적이 있다.

 


 

간단한 구구단 출력 함수이다.

이걸 보면서 간단한 함수 작성의 원리를 이해하면 좋겠다ㅎㅎ

 


 

prompt 와는 다른 cofirm (메세지) 함수이다.

확인과 취소로 true 와 false를 구분한다.

 


 

 

alert 함수이다 이건 그냥 경고문처럼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.

숫자를 입력해달라고 했는데 문자를 입력하거나

문자를 입력해달라고 했는데 숫자를 입력하는 장난꾸러기 방지용

 


 

잘하는 사람들은 이걸로 많이 하던데 나는 아직도 이거 개념이 좀 헷갈린다.

어쩔 수 없다 한번에 이해했으면 머리가 좋은 편인데, 냉정하게 난 그다지 머리가 좋진 않다.

 

이걸 이용한 예제 풀이를 해봤는데 이걸로 열심히 이해 해보는 방법밖에 없다



아직 구구단을 잘하지 못하는 친구들을 위한 문제이다.


 

이렇게 했었는데

위에 let hamsu = () => 이 화살표 함수로 랜덤한 수의 구구단을 뽑는 함수를 만들어봤다.

그리고 a , b 값에 hamsu() 값을 주면 두번이나 쓸 필요 없이 간단하게 

let a = hamsu(); 로 줄 수 있다 

화살표 함수는 이렇게 사용하면 되는 것 같기도?


 


 

내가 적어본 코드인데 1번까지는 어찌어찌 이해하겠는데

2번이 내게 힘들었다. 그래서 다른 분들께 내 코드의 문제가 뭔지 물어봤는데 

어찌어찌해서 저렇게 바뀌었다. 그런데 가장 큰 문제는 저 코드를 내가 이해를 못하겠다.

 

그리고 마지막엔 sort()라는 함수를 사용하는데 저건 



이걸 보면 조금 이해가 쉽다.

즉 나열해주는 함수이다.

 

증가순 이름: ${names.sort().join(' ')}  
 
이 함수는 names를 .sort() 정렬해서 .join(' ') 합쳐줘 라는 뜻으로 보면 될 것 같다 
 

 

새싹DT 기업연계형 프론트엔드 실무 프로젝트 과정 3주차 블로그 포스팅